[알고리즘 문제 해결 전략] 분할 정복
알고리즘 문제 해결 전략
알고리즘을 공부하면서 문제에 대한 암기보다, 알고리즘 자체에 대한 개념을 학습하기 위해 읽기 시작한 책이다.
7장 분할 정복
분할 정복(Divide & Conquer)은 가장 유명한 알고리즘 디자인 패러다임으로, 각개 격파라는 말로 설명이 가능하다. 이 디자인 패러다임을 차용한 알고리즘은 주어진 문제를 둘 이상의 부분 문제로 나눈 뒤 각 문제에 대한 답을 재귀 호출을 통해 계산하고, 각 부분 문제의 답으로부터 전체 문제의 답을 계산해 낸다. 분할 정복이 일반적인 재귀호출가 다른 점은 문제를 한 조각과 나머지 전체로 나누는 대신 거의 같은 크기의 부분 문제로 나누는 것이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세로가 더 짧다.
분할 정복을 사용하는 알고리즘들은 대개 세 가지의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다.
- 문제를 더 작은 문제로 분할하는 과정(divide)
- 각 문제에 대해 구한 답을 원래 문제에 대한 답으로 병합하는 과정 (merge)
- 더이상 답을 분할하지 않고 곧장 풀 수 있는 매우 작은 문제(base case)
위 분할정복의 알고리즘은 마치 잘 구현된 코드와 같은 형태를 가져야 한다. (클래스의 세분화)
위 특성에서 알 수 있듯이 분할 정복을 적용하기 위해선 문제에 몇 가지 특성이 성립해야 한다. 문제를 둘 이상의 부분 문제로 나누는 자연스러운 방법이 있어야 하며, 부분 문제의 답을 조합해 원래 문제의 답을 계산하는 효율적인 방법이 있어야 한다. 적용하기 어려워 보이는 조건을 가지지만 분할 정복은 같은 작업을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제: 수열의 빠른 합과 행렬의 빠른 제곱
앞서 재귀 호출에 대해서 다룰 때 recursiveSum()
이라는 함수를 통해 1 + 2 + ... + n
을 다뤘는데 이를 분할정복을 이용해 fastSum()
함수를 만들어 보자. 1부터 n까지의 합을 n개의 조각으로 나눈 뒤, 이들을 반으로 뚝 잘라 n/2개의 조각들로 만들어진 부분 문제 두 개를 만든다. (편의상 n은 짝수로 가정)
\(fastSum() = 1 + 2 + \cdots + n\) \(= (1 + 2 + \cdots + \frac{n}{2}) + ((\frac{n}{2} + 1) + \cdots + n)\)
첫 번째 부분 문제는 fastSum(n/2)로 나타낼 수 있지만, 두 번째 부분 문제는 그렇지 않다. 문제를 재귀적으로 풀기 위해서는 각 부분 문제를 ‘1부터 n까지의 합’ 꼴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하는데, 두 번째 조각은 ‘a부터 b까지의 합’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두 번째 부분 문제를 fastSum(x)를 포함하는 형태로 바꿔 써야 한다.
\[(\frac{n}{2}+1)+\dotsb+n=(\frac{n}{2}+1)+(\frac{n}{2}+2)+\dotsb+(\frac{n}{2}+\frac{n}{2})\]\(=\frac{n}{2}\times\frac{n}{2}+(1+2+3+\dotsb+\frac{n}{2})\) \(=\frac{n}{2}\times\frac{n}{2}+ fastSum(\frac{n}{2})\)
따라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fastSum(n) = 2 \times fastSum(\frac{n}{2}) + \frac{n^2}{4}\]이를 코드로 구현하면 다음과 같다.
1
2
3
4
5
6
7
8
// 필수 조건: n은 자연수
// 1 + 2 + ... + n을 반환한다.
int fastSum(int n) {
// 기저 사례(base case)
if (n == 1) return 1;
if (n % 2 == 1) return fastSum(n-1) + n;
return 2*fastSum(n/2) + (n/2)*(n/2);
}
시간복잡도 분석
fastSum()은 recursiveSum()에 비해서 훨씬 호출횟수가 적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는데, 이는 호출할 때마다 두 번에 한 번 꼴로 n이 절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이다.
행렬의 거듭제곱
n x n 크기의 행렬 A가 주어질 때, A의 거듭제곱(power)A^m는 A를 m번 곱한 것을 의미한다. 이것을 계산하는 것은 크게 어려울 것이 없지만, m이 매우 클 때 A^m을 계산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분할정복은 매우 빠른 속도로 구할 수 있다.
위 아이디어를 사용하여 A^m을 구하는데 필요한 m개의 조각을 절반으로 나눠 보자.
\[A^m = A^{m/2} \times A^{m/2}\]이를 코드로 구현하면 다음과 같다.
1
2
3
4
5
6
7
8
9
// 정방 행렬을 표현하는 SquareMatrix 클래스가 있다고 가정한다.
// A^m을 반환한다.
SquareMatrix pow(const SquareMatrix& A, int m) {
// 기저 사례: A^0 = I
if (m == 0) return identity(A.size());
if (m % 2 > 0) return pow(A, m-1) * A;
SquareMatrix half = pow(A, m/2);
return half * half;
}
나누어 떨어지지 않을 때의 분할과 시간 복잡도
m이 홀수일 때, A^m=AxA^(m-1)로 나누지 않고, 좀더 절반에 가깝게 나누는 게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7을 6,1이 아닌 3,4로 나누는 것이다. 실제로 문제의 크기가 절반에 가깝게 줄어들면 기저 사례에 도달하기까지 걸리는 분할의 횟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대부분의 분할 정복 알고리즘은 가능한 한 절반에 가깝게 문제를 나누고자 한다.
실제로 퀵 정렬에서 좀더 좋은 분할을 찾기 위해 여러 노력을 하는 것과 같다.
하지만 이 문제의 경우 분할은 오히려 알고리즘을 더 느리게 만든다. A^m을 찾기 위해 계산해야 할 부분 문제의 수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같은 문제라도 어떻게 분할하느냐에 따라 시간 복잡도 차이가 커진다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절반으로 나누는 알고리즘이 큰 효율 저하를 불러오는 이유는 바로 여러 번 중복되어 계산되면서 시간을 소모하는 부분 문제들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속성을 부분 문제가 중복된다라고 부른다. (이후에 동적계획법이 고안된 계기가 된다.)
예제: 병합 정렬과 퀵 정렬
주어진 수열의 크기 순서대로 정렬하는 문제는 전산학에서 가장 유명한 문제로 정리된다. 그 중 가장 유명한 두 알고리즘은 병합 정렬과 퀵 정렬이다.
이 두 알고리즘 모두 분할 정복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들이다.
구현에 대한 자료는 인터넷에 많아서 생략
병합 정렬 알고리즘은 주어진 수열을 가운데에서 쪼개 비슷한 크기의 수열 두 개로 만든 뒤 이들을 재귀 호출을 이용해 각각 정렬한다. 그 후 정렬된 배열을 하나로 합침으로써 정렬된 전체 수열을 만들어 낸다.
1
2
3
4
5
6
7
8
9
10
private void MergeAndSort(int[] a, int p, int r)
{
if (p < r)
{
int q = (p + r) / 2; // 절반으로 분활
MergeAndSort(a, p, q); // 재귀 호출 결국 1개로 정렬된 리스트를 만듬
MergeAndSort(a, q + 1, r);
Merge(a, p, q, r);
}
}
반대로 퀵 정렬 알고리즘은 배열을 단순하게 가운데에서 쪼개는 대신, 병합 과정이 필요 없도록 한쪽의 배열에 포함된 수가 다른 쪽 배열의 수보다 항상 작도록 배열을 분할합니다. 이를 위해 퀵 정렬은 파티션이라고 부르는 단계를 도입하는데, 이는 배열에 있는 수 중 임의의 ‘기준 수(pivot)’를 지정한 후 기준보다 작거나 같은 숫자를 왼쪽, 더 큰 숫자를 오른쪽으로 보내는 과정을 말한다.
1
2
3
4
5
6
7
8
9
private void QuickSortLogic(int[] a, int p, int r)
{
if (p < r)
{
int q = Partition(a, p, r);
QuickSortLogic(a, p, q - 1);
QuickSortLogic(a, q + 1, r);
}
}
병합 정렬의 동작 과정은 각 수열의 크기가 1이 될 때까지 절반씩 쪼개 나간 뒤, 정렬된 부분 배열들을 합쳐 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 병합 정렬의 분할 방식은 아주 단순하고 효율적이다. 주어진 배열에서 가운데를 절반으로 나누는 것이다. 따라서 이 과정은 상수 시간인 O(1)이 걸린다. 그러나 각각 나눠서 정렬한 배열들을 하나의 배열로 합치기 위해 별도의 병합 과정을 실행해야 한다. 이 과정은 O(n)의 시간이 걸린다.
퀵 정렬은 각 부분 수열의 맨 처음에 있는 수를 기준으로 삼고, 이들보다 작은 수를 왼쪽으로, 큰 것을 오른쪽으로 가게끔 문제를 분해한다. 이 분할은 O(n)의 시간이 걸리는 복잡한 작업인데다, 어떤 기준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분할의 결과가 매우 달라질 수 있다.
이 두 알고리즘은 같은 아이디어로 정렬을 수행하지만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을 분할을 분할 단계에서 하느냐, 병합 단계에서 하느냐가 다르다. 이렇게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알고리즘이라도 어떤 식으로 분할하느냐에 따라 다른 알고리즘이 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분할 정복 패러다임을 사용한 알고리즘이다.
시간 복잡도 분석
병합 정렬과 퀵 정렬의 시간 복잡도는 비슷한 방법으로 볼 수 있다. O(n)의 시간이 걸리는 과정을 재귀 호출 전에 하느냐, 후에 하느냐가 다를 뿐 본질적으로 비슷한 형태의 알고리즘이기 때문이다.
병합 정렬은 각 단계마다 반으로 나눈 부분 문제를 재귀 호출을 이용해 해결한 뒤, 이들의 결과 수열을 합쳐 전체 문제의 답을 계산한다. 정렬된 두 부분 수열을 합쳐 전체 문제의 답을 계산한다. 정렬된 두 부분 수열을 합치는 데는 두 수열의 길이 합만큼 반복문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병합 정렬의 수행 시간은 이 병합 과정에 의해 지배된다.
그런데 아래 단계로 내려갈수록 부분 문제의 수는 두 배로 늘고 각 부분 문제의 크기는 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한 단계 내에서 모든 병합에 필요한 총 시간은 O(n)으로 항상 일정하다. 필요한 단계의 수는 O(logn)이 되며, 따라서 병합 정렬의 시간 복잡도가 O(nlogn)이 된다.
퀵 정렬의 경우 대부분의 시간을 차지하는 것은 주어진 문제를 두 개의 부분 문제로 나누는 파티션 과정이다. 파티션에는 주어진 수열의 길이에 비례하는 시간이 걸리므로, 사실 병합 정렬에서의 병합 과정과 다를 것이 없다. 병합 정렬과 달리 퀵 정렬의 시간 복잡도를 분석하기 까다로운 것은 결과적으로 분할된 두 부분 문제가 비슷한 크기로 나눠진다는 보장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최악의 경우엔 O(n^2)이 걸릴 수 있다. 다행이 평균적으로 부분 문제가 절반에 가깝게 나눠질 때 퀵정렬의 시간 복잡도는 병합 정렬과 같은 O(nlogn)이 된다. 그래서 대부분의 퀵 정렬 구현은 가능한 한 절반에 가까운 분할을 얻기 위해 좋은 기준을 뽑는 다양한 방법들을 제공한다.
예제: 카라츠바의 빠른 곱셈 알고리즘
분할 정복 알고리즘의 한 예가 카라츠바의 빠른 곱셈 알고리즘으로, 두 개의 정수를 곱하는 알고리즘이다. 물론 32비트 정수 둘을 곱할 때 쓰는 것은 아니고, 수백자리, 나아가 수만 자리는 되는 큰 숫자들을 다룰 때 주로 사용한다.
이렇게 큰 숫자들은 배열을 이용해 저장해야 한다. 두 자연수의 십진수 표기가 배열에 주어진다고 할 때, 이 둘을 곱한 결과를 계산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초등학교 때 배운 방법과 같다.
두 정수 1234와 5678을 곱하는 과정을 예로 본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int[] multiply(int[] a, int[] b) {
int[] c = new int[a.length + b.length + 1];
for (int i = 0; i < a.length; i++)
for (int j = 0; j < b.length; j++)
c[i+j] += a[i] * b[j];
normalize(c);
return c;
}
void normalize(int[] num) {
num[num.length-1] = 0;
for (int i = 0; i < num.length-1; i++) {
if (num[i] < 0) {
int borrow = (Math.abs(num[i]) + 9) / 10;
num[i+1] -= borrow;
num[i] += borrow * 10;
} else {
num[i+1] += num[i] / 10;
num[i] %= 10;
}
}
}
multiply()
가 일반적인 정수형 변수가 아닌 정수형 배열을 입력받는 점을 눈여겨봐야 한다. 이 배열들은 곱할 수의 각 자릿수를 맨 아래 자리부터 저장하고 있다. 이렇게 순서를 뒤집으면 입출력은 불편하지만 주어진 자릿수의 크기를 10^i로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결국 O(n^2)의 시간이 걸리는데, 이를 O(n^1.585)로 줄일 수 있는 카라츠바의 빠른 곱셈 알고리즘이 있다. (1960년에 등장)
카라츠바의 빠른 곱셈 알고리즘은 두 수를 각각 절반으로 쪼갠뒤, a와 b가 각각 256자리 수라면 a_1과 b_1은 첫 128자리, a_0과 b_0은 나머지 128자리가 된다.
\(a = a_1 \times 10^{128} + a_0\) \(b = b_1 \times 10^{128} + b_0\)
카라츠바는 이때 a x b를 네 개의 조각을 이용해 표현하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a \times b = (a_1 \times 10^{128} + a_0) \times (b_1 \times 10^{128} + b_0)\) \(= a_1 \times b_1 \times 10^{256} + (a_1 \times b_0 + a_0 \times b_1) \times 10^{128} + a_0 \times b_0\)
이 방법에서는 우리는 큰 정수 두개를 한 번 곱하는 대신, 절반 크기로 나눈 작은 조각을 네 번 곱한다.
10의 거듭제곱을 곱하는 것은 그냥 뒤에 0을 붙이는 시프트 연산으로 구현하면 되니 곱셈으로 치지 않는다.
이대로도 각각을 재귀 호출해서 해결하면 분할 정복 알고리즘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실제 전체 수행 시간이 O(n^2)이 되어버린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카라츠바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했다.
a x b를 표현했을 때 네 번 대신 세 번의 곱셈으로만 이 값을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a \times b = a_1 \times b_1 \times 10^{256} + (a_1 \times b_0 + a_0 \times b_1) \times 10^{128} + a_0 \times b_0\]조각들의 곱을 각각 3개로 나눠서 계산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a \times b = z_2 \times 10^{512} + (z_1 - z_2 - z_0) \times 10^{256} + z_0\]이를 코드로 구현하면 다음과 같다.
1
2
3
z2 = a1 * b1;
z0 = a0 * b0;
z1 = (a1 + a0) * (b1 + b0) - z0 - z2;
이 과정에서 곱셈을 세 번밖에 쓰지 않기에 다시 적절하게 조합하여 답을 구할 수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int[] karatsuba(int[] a, int[] b) {
int an = a.length, bn = b.length;
if (an < bn) return karatsuba(b, a);
if (an == 0 || bn == 0) return new int[0]; // 기저 사례: 어느 한쪽이 0일 경우
if (an <= 50) return multiply(a, b); // 기저 사례: a와 b가 모두 50자리 이하일 경우 O(n^2)의 시간복잡도를 가지는 곱셈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int half = an / 2;
int[] a0 = Arrays.copyOfRange(a, 0, half);
int[] a1 = Arrays.copyOfRange(a, half, an);
int[] b0 = Arrays.copyOfRange(b, 0, Math.min(b.length, half));
int[] b1 = Arrays.copyOfRange(b, Math.min(b.length, half), b.length);
int[] z2 = karatsuba(a1, b1);
int[] z0 = karatsuba(a0, b0);
addTo(a0, a1, 0);
addTo(b0, b1, 0);
int[] z1 = karatsuba(a0, b0);
subFrom(z1, z0);
subFrom(z1, z2);
int[] ret = new int[an + bn - 1];
addTo(ret, z0, 0);
addTo(ret, z1, half);
addTo(ret, z2, half + half);
return ret;
}
카라츠바 알고리즘은 분할한 부분 문제의 답에서 원래 문제의 답을 병행해는 부분을 개선함으로써 알고리즘 성능을 향상시킨 좋은 예이다.
시간 복잡도 분석
카라츠바 알고리즘은 두 개의 입력을 절반씩으로 쪼갠 뒤, 세 번 재귀 호출을 하기 때문에 재귀 호출은 한 번이나 두번 만 하던 지금과는 다르게 분석해야 한다.
우선 카라츠바 알고리즘의 수행 시간을 병합 단계와 기저 사례의 두 부분으로 나눈다. 병합 단계의 수행 시간은 addTo()와 subFrom()의 수행 시간에 지배되고, 기저 사례의 처리 시간은 multiply()의 수행 시간에 지배된다.
먼저 기저 사례를 처리하는 데 드는 총 시간을 알아본다. 다 긴 숫자의 길이가 50자리보다 짧아지면 multiply()를 이용해 답을 계산하기로 했지만, 여기서는 편의를 위해 한 자리 숫자에 도달해야만 multiply()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예제: 쿼드 트리 뒤집기
대량의 좌표 데이터를 메모리 안에 압축해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여러 기법 중 쿼트 트리(쿼드 트리)라는 것이 있다. 옥 트리도 있으며 쿼드 트리는 2D 게임에서 옥트리는 3D 게임에서 쓰인다.
가장 많이 쓰이는 예로는 흑백 이미지 압축에 많이 사용한다고 한다. 이미지를 4등분하여 각각의 부분이 모두 흑색이면 하나의 흑색으로 압축하고, 하나라도 흰색이면 하나의 흰색으로 압축한다. 이 과정을 분할 정복을 이용하면 된다.
- 그림의 모든 픽셀이 검은 색이라면 크기에 관게없이 b로 압축
- 그림의 모든 픽셀이 흰 색이라면 크기에 관계없이 w로 압축
- 그렇지 않다면, 크기를 4등분하여 각각의 부분을 쿼드 트리 압축
가장 쉽게 생각할 수 있는 접근법은 뒤집기 위해서 압축을 풀어서 실제 이미지를 얻고, 상하 반전을 한 뒤 다시 쿼드 트리를 압축하는 방법이 있다.
압축 풀고 분할하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char decompressed[MAX_SIZE][MAX_SIZE];
void decompress(string::iterator& it, int y, int x, int size) {
char head = *(it++);
if (head == 'b' || head == 'w') {
for (int dy = 0; dy < size; ++dy)
for (int dx = 0; dx < size; ++dx)
decompressed[y+dy][x+dx] = head;
} else {
int half = size / 2;
decompress(it, y, x, half);
decompress(it, y, x+half, half);
decompress(it, y+half, x, half);
decompress(it, y+half, x+half, half);
}
}
이 경우에는 2^20 * 2^20 크기의 이미지를 다루는 것이므로 거의 1테라바이트에 달하는 크기가 된다. 분할정복을 사용했지만 좀 더 효율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압축 다 풀지 않고 뒤집기
이 경우에는 이미지를 뒤집은 결과를 곧장 생성하는 코드가 필요하다. 즉, 압축해제 과정 없이 이미지를 뒤집은 결과를 바로 출력할 수 있어야 한다.
문제의 특징을 조금 살펴보면 사실 흰색이나 검은색으로 가득 찬, w나 b는 뒤집을 필요가 없다. 전체가 한 가지 색이 아닌 경우에만 이들을 병합하여 답을 얻어야 한다. 그림의 분할되기 전 즉 압축 상태에서 각각 상하로 뒤집은 결과를 얻고 이를 다시 합치면 된다.
1
2
3
4
5
6
7
8
9
10
11
string reverse(string::iterator& it) {
char head = *it;
++it;
if (head == 'b' || head == 'w')
return string(1, head);
string upperLeft = reverse(it);
string upperRight = reverse(it);
string lowerLeft = reverse(it);
string lowerRight = reverse(it);
return string("x") + lowerLeft + lowerRight + upperLeft + upperRight;
}
예제: 울타리 잘라내기
이 문제는 N개의 나무 판자를 붙여 세운 울타리가 있다. 울타리를 재구성하기 위해 가장 큰 정사각형을 만드는 문제이다.
최대값을 구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무식하게 풀이는 가능하지만 성능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분할 정복을 사용해야 한다.
무식하게 풀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int bruteForce(const vector<int>& h) {
int ret = 0;
int N = h.size();
for (int left = 0; left < N; ++left) {
int minHeight = h[left];
for (int right = left; right < N; ++right) {
minHeight = min(minHeight, h[right]);
ret = max(ret, (right - left + 1) * minHeight);
}
}
return ret;
}
분할 정복을 이용한 풀이
분할 정복 알고리즘에 맞게 설계하기 위해선 n개의 판자를 절반으로 나눠 두 개의 부분 문제를 만든다. 그렇다면 찾는 최대 직사각형은 세 가지 중 하나에 속한다.
- 가장 큰 직사각형을 왼쪽 부분 문제에서만 잘라낼 수 있다.
- 가장 큰 직사각형은 오른쪽 부분 문제에서만 잘라낼 수 있다.
- 가장 큰 직사각형은 왼쪽 문제와 오른쪽 부분 문제에 걸쳐 있다.
이렇게 3번 째의 경우만 답을 구할 수 있으면 분할정복의 기본 아이디어를 적용할 수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int solve(const vector<int>& h, int left, int right) {
if (left == right) return h[left];
int mid = (left + right) / 2;
int ret = max(solve(h, left, mid), solve(h, mid+1, right));
int lo = mid, hi = mid + 1;
int height = min(h[lo], h[hi]);
ret = max(ret, height * 2);
while (left < lo || hi < right) {
if (hi < right && (lo == left || h[lo-1] < h[hi+1])) {
++hi;
height = min(height, h[hi]);
} else {
--lo;
height = min(height, h[lo]);
}
ret = max(ret, height * (hi - lo + 1));
}
return ret;
}
예제: 팬미팅
팬미팅에서 멤버들과 팬들이 만나서 포옹을 하는데, 멤버들은 팬들보다 훨씬 크다. 멤버들과 팬들이 포옹을 하는 순간이 몇 번인지 구하는 문제이다.
곱셈으로 변형
이 문제를 푸는 방법은 앞서 적용한 카라츠바의 곱셍을 이용하면 매우 쉽게 풀린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int hugs(const string& members, const string& fans) {
int N = members.size(), M = fans.size();
vector<int> A(N), B(M);
for (int i = 0; i < N; ++i) A[i] = (members[i] == 'M');
for (int i = 0; i < M; ++i) B[M-i-1] = (fans[i] == 'M');
vector<int> C = karatsuba(A, B);
int allHugs = 0;
for (int i = N-1; i < M; ++i)
if (C[i] == 0)
++allHugs;
return allHugs;
}
댓글남기기